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키타현 제3구

덤프버전 :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아키타현 제3구
秋田県第3区
||
파일:shuinsen_Akita3.svg
선거인 수316,428명 (2022)
상위 도도부현아키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1. 개요[편집]


아키타현의 남부 지역인 요코테시, 유리혼조시, 유자와시, 다이센시, 센보쿠시, 니카호시, 센보쿠군, 오가치군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2. 상세[편집]


무라오카 가문과 미노리카와 가문이 치열한 정치적 싸움을 벌이는 지역구로 유명하다.

대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나 가문의 대결로 인해 접전을 벌인 적이 많다. 과거 중선거구제 시절 무라오카 가네조와 미노리카와 히데후미가 자민당 후보로 당선되던 곳이었는데, 소선거구제 개편 이후 치러진 제 41회, 42회 총선에서는 무라오카 가네조가 지역구에서 출마해 당선되고 미노리카와 히데후미는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제43회 총선부터는 무라오카 가네조는 비례대표로, 미노리카와 히데후미는 지역구로 서로 맞바꿔 출마할 계획이었으나, 미노리카와 히데후미가 총선을 앞두고 2003년 4월 사망해버리자 무라오카 가네조가 지역구에 재출마한다. 이에 미노리카와 히데후미의 아들인 미노리카와 노부히데가 열받아 무소속으로 출마해 제43회 총선에 자민당으로 출마한 무라오카 가네조를 꺾고 당선된다.

이후 2005년 제44회 총선에서는 당선 후 자민당에 복당한 미노리카와 노부히데가 거꾸로 공천을 받고, 무라오카 가네조의 아들인 무라오카 도시히데가 이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미노리카와 노부히데가 당선되었고, 무라오카 도시히데는 2년전 아버지와 똑같이 낙선한다.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는 보수 분열을 틈 타 민주당 교노 기미코 후보가 37.4%의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민당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후보와 무소속 무라오카 도시히데 후보는 동반 낙선한다.

2012년 제46회 총선에서는 미노리카와 노부히데가 다시 자민당 후보로 당선된다. 무라오카 도시히데는 세번째로 패배하나, 처음으로 정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고, 덕분에 일본 유신회 소속으로 석패율제를 통해 초선 의원이 된다. 2014년 제47회 총선에서도 미노리카와가 지역구 후보로 당선되고 무라오카는 지역구에서 낙선되나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되는 일이 반복되었다. 민주당이 독자 후보를 내지 않고 유신당 후보인 무라오카를 지원하는 바람에 두 후보간 표차가 2.9%까지 좁혀졌다.

하지만 2017년 제48회 총선에서는 표차가 다시 6.5%로 벌어졌고, 이번에는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한 무라오카가 석패율제를 통해 구제받지 못하고 낙선했다. 이후 무라오카는 국민민주당에 참여하지 않고 야권의 좌경화를 비판한 뒤, 2019년 제 25회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 후보를 지지했다. 차기 총선에 불출마를 선언했고, 덕분에 미노리카와 의원이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 압승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혼죠시, 오마가리시, 유리군,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오카 가네조150,956표1위


57.89%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데라다 소85,390표2위


32.7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이 도시오24,405표3위


9.36%낙선
유효표 수260,75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혼죠시, 오마가리시, 유리군,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오카 가네조170,176표1위


63.0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지마 다쓰로45,572표2위


16.87%낙선
파일:자유당.gif사사야마 다쓰오37,876표3위


14.0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가 마사오16,517표4위


6.11%낙선
유효표 수270,141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fff
요코테시, 혼죠시, 오마가리시, 유리군,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미노리카와 노부히데133,981표1위

무소속

49.6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무라오카 가네조117,453표2위


43.5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가쓰마 게이코18,276표3위


6.78%낙선
유효표 수269,710표투표율
72.18%
선거인 수380,698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1차전 - 이번 총선부터 무라오카 가네조 의원은 비례대표로, 미노리카와 히데후미 의원은 지역구로 서로 맞바꿔 출마할 계획이었으나, 미노리카와 히데후미가 총선을 앞두고 2003년 4월 사망해버리자 무라오카 가네조가 지역구에 재출마한다. 미노리카와 히데후미의 아들인 미노리카와 노부히데가 이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는데, 세대교체 여론과 동정론에 힘입어 당선된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혼죠시, 오마가리시, 유리군,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키라와 노부히데114,228표1위


41.3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교노 기미코82,480표2위


29.83%낙선
무라오카 도시히데79,759표3위

무소속

28.85%낙선
유효표 수276,467표투표율
74.63%
선거인 수377,644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2차전 - 또다시 미노리카와 의원이 승리한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혼죠시, 다이센시, 유리군, 센보쿠시,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교노 기미코101,777표1위
37.4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리카와 노부히데90,575표2위
33.30%낙선
무라오카 도시히데76,787표3위
28.2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니시모토 아쓰시2,847표4위
1.05%낙선
유효표 수271,986표투표율
75.70%
선거인 수365,951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3차전 - 이번에는 민주당 돌풍 때문에 둘 다 사이좋게 낙선한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혼죠시, 다이센시, 유리군, 센보쿠시, 센보쿠군,
히라카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키라와 노부히데97,164표1위
42.68%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무라오카 도시히데74,422표2위
32.69%비례당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교노 기미코25,185표3위
[1]11.0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쓰이 마리코23,665표4위
[2]10.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초우에몬7,211표5위
3.17%낙선
유효표 수227,647표투표율
65.64%
선거인 수354,501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4차전 - 미노리카와가 승리를 거두며 3승 0패로 앞서나가나, 처음으로 정당 공천을 받은 무라오카도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 드디어 중의원에 처음 입성한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유자와시, 유리혼죠시, 다이센시, 니카호시,
센보쿠시, 센보쿠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키라와 노부히데94,096표1위
[3]47.79%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무라오카 도시히데88,483표2위
[include(틀:유신당)]44.9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가쓰마 게이코14,333표3위
7.28%낙선
유효표 수196,912표투표율
58.08%
선거인 수346,644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5차전 - 미노리카와가 다시 승리하나, 이전까지의 맞대결 중 가장 적은 표차로 승부가 났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유자와시, 유리혼죠시, 다이센시, 니카호시,
센보쿠시, 센보쿠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리카와 노부히데107,432표1위
[4]50.57%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무라오카 도시히데93,746표2위
44.1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도미오카 아키라11,274표3위
5.31%낙선
유효표 수212,452표투표율
64.22%
선거인 수340,190인

미노리카와 vs 무라오카 6차전 - 지난 총선에서 미노리카와 의원과의 표차를 2.9%까지 좁혔기에, 이번에는 드디어 무라오카 후보가 당선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다. 언론도 접전 지역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오히려 6.5%로 표차가 벌어지고, 무라오카는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로 구제받지도 못하고 낙선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3구
요코테시, 유자와시, 유리혼죠시, 다이센시, 니카호시,
센보쿠시, 센보쿠군, 오가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노리카와 노부히데134,734표1위
[5]77.95%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기야마 아키라38,118표2위
22.05%낙선
유효표 수172,852표투표율
55.89%
선거인 수320,409인

현역 자민당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의원이 재출마한다. 공산당은 농업가인 스기야마 아키라 후보를 공천했다. 여당 강세 지역구이기 때문에 입헌민주당등 다른 야당에서는 후보를 내려는 움직임이 없었다.

2009년 제45회 총선을 제외한 최근의 모든 선거처럼 야당은 큰 변수가 되지 못하고, 보수계 무소속인 무라오카 전 의원의 출마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무라오카 전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패배한 후 아키타현 도지사 선거에도 출마해 석패했는데, 최종적으로 불출마했다.

결국 공산당 이외의 야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았다. 따라서 공산당 스기야마 후보가 야권 단일후보로 자민당 미노리카와 후보와 1대1 승부를 벌이는데, 국민민주당이나 입헌민주당 후보 단일화에 비해 자민당에 유리한 구도로 선거가 치러진다.

예상대로 무라오카 전 의원이 출마를 하지 않았기에, 자민당 미노리카와 후보가 압승했다. 2003년 제43회 총선때부터 7번 연속 출마했지만, 이렇게 압도적으로 승리를 거머쥔 것은 이번 선거가 처음이다.

한편 이번 중의원 선거에 불참한 무라오카 전 의원은 1년후인 2022년에 치러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국민민주당의 추천을 받아 야권 무소속 후보로 입후보 했으나, 입헌민주당의 추천을 받은 또 다른 야권 무소속 후보 사사 유리코 후보와의 단일화 실패로 인한 표 분산으로 현역인 이시이 히로오 의원에 밀려 낙선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민당에서는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의원의 7선 도전이 예상된다.

저번 선거에는 불출마하고 참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국민민주당 소속 무라오카 도시히데 전 의원이 재도전하기로 했다.

공산당에서는 후지타 가즈히사 후보가 출마한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